
컴퓨터라는 용어를 모르는 사람은 없죠?
키보드 마우스 모니터 한글 ppt 엑셀도 다 아시겠죠?
그럼 혹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는 어떤가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차이를 모른다고요? 에이 설마.. 그럼 더 환영합니다!
당신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헷갈려서 또는 몰라서 또는..레포트에 복붙하기 위해서 이글을 보고계실겁니다.
여러 목적을 가진 여러분들을 위해 확실하고 자세히 알려드리도록 하죠
컴퓨터?
우선 컴퓨터에 대해 알고계신다 하셨는데 혹시 컴퓨터가 무슨뜻인진 아시나요??
전자회로를 이용해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모든 기기를 뜻하며 ‘계산하다’ 라는 뜻을 가진 라틴어인 ‘computare’에서 유래했습니다.
PC: Personal Computer
이 전자 회로를 이용한 고속의 자동 계산기인 컴퓨터는 숫자 계산, 자동 제어, 데이터 처리, 사무 관리, 언어나 영상 정보 처리 따위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이들을 활용하기 위해 프로그래밍을 통해 다양한 목적도 달성할 수 있습니다.
또한 컴퓨터는 인간에 비해 매우 단순한 작업만 하는 기계로 계산을 매우 빨리 할 수 있고 한번 기억한 데이터를 잃어버리지 않는다는 컴퓨터의 장점을 활용함으로써 인간은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여담으로 인류 역사상 최초의 컴퓨터는 주판이라고 합니다 띠용
그리고 모든 컴퓨터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이루어져 있죠!

하드웨어는 사람이 발로 걷어찰 수 있는
컴퓨터의 부분
- jeff pesis
예 딱딱합니다. 여러분이 생각하는 컴퓨터 부품 모든게 하드웨어입니다. 컴퓨터의 신체죠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 스피커.. 다 하드웨어죠 하지만!!!
정확하게 말하자면 하드웨어는 중앙처리장치(CPU:central processing unit), 기억장치(저장장치, Memory unit), 주변 장치(입출력 장치)로 나뉩니다.
그러니까~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하드웨어들은 입출력장치인겁니다.

좀 복잡해지니 예를 들어볼까요? 컴퓨터의 하드웨어를 요리에 빗대자면 저장 장치에서 재료를 꺼내와 메인 메모리 위에 올려놓고 입출력장치(주방기기)를 이용해 CPU가 요리를 하는거죠
(조수는 GPU..요리할게 너무 많아지면 그래픽 연산만 전문으로 하는 GPU에게 넘깁니다)
여기서 레시피는 소프트웨어로 비유할 수 있습니다!
CPU는 제어장치/연산장치/레지스터로 나뉘고 저장장치엔 동적램과 정적램 등이 있습니다..다음 포스팅에

전동 거품기를 구매하자니 너무 비싸고 직접 만들자니 너무 어려워요
또 오래되면 녹슬어 새걸로 사야합니다
이처럼 하드웨어의 특징은 업그레이드가 힘들고 추가나 교체가 필요합니다.
또한 비용이 많이들고 제작에 많은 시간이 필요하죠.
소프트웨어?

하드웨어인 컴퓨터 본체의 전원을 킨 후 출력장치인 모니터를 통해 유튜브를 보려면 크롬을 켜야 합니다.
유튜브를 보기 위해 하드웨어의 계산을 이용한거죠
우리가 컴퓨터를 킨 후 모니터를 통해 눈에 들어오는 모든게 소프트웨어를 통해 만들어진 것이고, 모두 소프트웨어 인 것입니다.
앞서 설명한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특정 목적을 달성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을 모아 놓은 집합,
또는 컴퓨터를 작동시키거나 이용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기술을 모두 소프트웨어라고 합니다.
그리고 이 소프트웨어는 자바, c언어 등 프로그래밍 언어들을 통해서 개발되죠
하드웨어와 대응하는 개념으로 만질 수 있는 하드웨어와 달리 물리적이지 않고 만질 수 없습니다.
하드웨어: 물리적으로 존재 / 소프트웨어: 논리적으로 존재
이 소프트웨어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와 응용 소프트웨어로 나뉩니다!

시스템 소프트웨어는 운영 체제(OS:Operating System)와 유틸리티로 나뉩니다.
운영 체제는 컴퓨터 전체를 관리하고 운영하며 하드웨어 작동을 규정하고 관리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응용 소프트웨어를 위한 기반 환경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중재 역할을 해 주는 프로그램이죠
인터프리터, 컴파일러 등으로 다양한 프로그램 언어를 해석할 수 있는 공간이기도 합니다.
+유틸리티는 운영 체제를 도와 시스템을 관리해주는 역할을 말합니다.
응용 소프트웨어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안에서 특정한 응용 분야에 사용하기 위해 개발된 소프트웨어로 우리가 생각하는 일반적인 프로그램이 이에 해당합니다. 한글, 워드, ppt, 크롬, 엑셀 등 모두 응용 소프트웨어입니다!
그리고 소프트웨어는 언제든지 업데이트를 통해 유지, 보수가 가능하죠
눈에 보이지 않지만 그만큼 자유롭고 하드웨어보다 접근이 상대적으로 쉽습니다.
펌웨어(Firmware)라고 아세요?
추가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특성을 모두 가진 펌웨어도 알아볼까요?
hard가 처음부터 딱딱했다면 firm은 굳은느낌의 단단함
하드웨어는 만질 수 있습니다. 소프트웨어는 하드웨어를 제어하죠두가지 특성을 모두 가진 펌웨어는 하드웨어인 ROM(Read Only Memory)에 프로그램을 새겨버린 것입니다
굳이 이걸 왜하냐고요?

한 레스토랑이 있는데 처음엔 사람들이 실용적인 라면, 볶음밥 등 쉬운 메뉴만 주문했습니다
그런데 배가불러서 갈수록 복잡해지는 토마토스튜, 마카롱을 시키는거에요
레시피(소프트웨어)가 늘어납니다!
주방은 힘이 들겠죠?
스튜를 젓고 머랭치는데 힘이 다빠져버리고 기존 도구로는 불가능해져 요리할때마다 새로운 도구들을 들여놓아야 합니다
이를 대비해 새로 공간을 만들고 각 도구들에 회로를 새겨놓습니다
기존 도구를 보강하거나 새 도구를 대신하도록 말이죠! 칼을 들면 알아서 도마가 따라왔고, 역할 분담도 더 효율적으로 맡게 됩니다.
이처럼 빠르게 변화하는 외부의 상황을 대비해 하드웨어 내부의 제어회로 부분에 별도의 저장공간을 만들어, 그곳에 논리 회로의 기능을 보강하거나 대신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넣었습니다
주로 프린터기, 블루투스 이어폰, 노트북 등 하드웨어와 직결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가 자주 되는 기기들이 많이 사용합니다
컴퓨터는 사용자가 원하는 작업을 스스로 하지 않습니다.
사용자가 직접 프로그래밍을 함으로써 작업을 지시해야 하며, 이를 통해 컴퓨터의 기능을 무한히 확장할 수 있죠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되고싶은 사람이 많아지는 이유에 이것도 포함되는 듯 합니다.
이글을 보고 딱딱하고 부드러운 컴퓨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대해 확실히 알아가셨길 바랍니다!
궁금하거나 잘못된 부분은 댓글로 알려주세용
댓글